기업 재무제표 보는 법 : 재무상태표, 손익계산서, 현금흐름표
기업이 영업을 잘하고 있는지 보려면
꼭 알아야할 것이 있습니다.
바로 재무제표입니다.
재무제표는 3가지로 구성됩니다.
재무상태표, 손익계산서, 현금흐름표.
재무상태표는 자산(자본+부채)를 보여줌.
손익계산서는 가계부. 이익을 냈나를 보여줌.
현금흐름표는 현금을 따로 정리한 것.
각각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.
1. 재무상태표 (대차대조표)
이 회사에 재산이나 부채가
얼마나 있는지를 정리한 것입니다.
현금, 재고, 땅이나 건물, 부채 등
회사의 재산의 내역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.
자산(총 돈) = 자본(내 돈) + 부채(남의 돈)
유동, 비유동은
1년 안에 현금화 가능 : 유동
1년 안에 현금화 불가능 : 비유동
이렇게 구분하시면 됩니다.
자산 | 자본 + 부채 | ||
유동자산 | 당좌자산 (현금, 증권, 매출채권) | 자본(내 돈) | 자본금 (처음 들어간 내돈) |
재고자산 (상품, 제품, 원재료) | 자본잉여금(주식발행초과금, 감자) | ||
비유동자산 | 투자자산 (장기금융상품, 만기보유증권, 장기대여금 등) | 이익잉여금.(이익준비금, 처분전 이익잉여금 등) | |
유형자산 (건물, 토지, 기계장치) | 자본조정(주식할인발행차금, 자기주식) | ||
무형자산 (특허권, 사업재산권, 영업권) | 부채(남의 돈) | 유동부채 (1년 내 갚아야하는 빚, 단기차입금 or 미지급금) | |
비유동부채(1년 이후 갚아야 하는 빚, 장기차입금 or 퇴직급여 충당금) | |||
자금사용결과 | 자금조달 |
유동 부채를 잘 봐야 합니다.
1년 내에 급하게 나가야할 돈과
그걸 지불할 능력이 되는지 봐야 합니다.
이를 위해 당좌자산을 봐야 합니다.
재고자산은 현금화하기 힘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.
2. 손익계산서
회사의 가계부입니다.
장사를 잘했는지 못했는지를 보여줍니다.
얼마나 벌었고, 어디에 썼는지,
순이익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알려줍니다.
손익계산서 |
매출액 - 매출원가 |
매출총이익 - 판매비와 일반관리비(판관비) |
영업이익 + 영업외 수익 - 영업외 비용 |
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 - 법인세 |
당기순이익 |
이 중
매출, 매출총이익, 영업이익, 당기순이익
4가지는 꼭 확인해야 합니다.
또한
부채비율, 유동비율, 당좌비율은
꼭 확인을 해야 합니다.
1) 유동비율 = 유동자산/유동부채 x 100
지출되어야할 돈과 현금화 가능한 자산을 비교
100% 이상이어야 하겠죠?
2) 당좌비율 : 당좌자산 / 유동부채 x 100
재고를 빼고 계산한 것입니다.
안 팔리면 현금화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.
3) 부채비율 : 부채/자본 x 100
부채비율은 200% 미만이면 적정합니다.
3. 현금흐름표
현금이 들어오고 나간 것을 별도로 정리한 것입니다.
현금흐름은 영업활동, 투자활동, 재무활동으로
구분됩니다.
현금흐름표 | |
영업흐름으로 인한 현금흐름 | 영업으로 실제로 회사로 들어온 돈 |
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| 투자활동으로 들어오고 나간 돈 |
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| 은행에서 빌리거나 갚거나 이자를 내는 등 들어오고 나간 돈 |
매출액만 높다고 좋은 게 아닙니다.
실제로 돈이 내 수중에 얼마나 꽂혔는지가
중요하겠죠. (영업흐름 현금흐름 + )
투자활동은 계속 해야 합니다.
(투자활동 현금흐름 - 가 좋음)
재무활동은 돈을 계속 갚아야 합니다.
(재무활동 현금흐름 - 가 좋음)
투자하기 전에 꼭 이 지표를 보고
건실한 기업인지 판단하는 게 중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