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&P500 국내상장 ETF 투자하기. 미국 건데 왜 국내 투자를? 수수료 비교까지!
안녕하세요 워런해핏입니다.
요즘 종목 리밸런싱하려고
공부하고 투자하느라 바쁘네요.
근 4년 간 주식 투자와 부동산 투자 등
여러 투자들을 하면서 느낀 것과
여러 책들을 접하면서 느낀 게
S&P500은 꼭 가지고 있어야겠다는 생각이었습니다.
1. S&P500이란?
S&P500이란
미국의 주가지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미국 증시에 상장된 기업
상위 500개의 대형기업이 포함된 지수입니다.
1957년에 출시된 지수로
그때보다 얼마나 올랐는지를
가늠할 수 있겠습니다.
이 지수는 출시일 이후 지금까지
약 연평균 11%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
물론 폭락기도 있었습니다만
장기적으로 우상향했습니다.
그 중에서 저는 왜 S&P500을
투자처로 생각했을까요?
닛케이, 상해종합, 유로스톡스50
등의 다른 지수들은
(특히 일본) 20년이나 수익률이
마이너스인 경우가 있을 정도입니다.
거인의 어깨에 올라타는 것입니다.
마이크로소프트, 애플,
아마존, 엔비디아, 알파벳(구글)
메타(페이스북), 테슬라, 비자 등
쟁쟁한 회사들을 투자할 수 있습니다.
2. 왜 S&P500 국내 상장에 투자를?
왜 저는 S&P500
국내 상장한 ETF에 투자를 할까요?
바로 절세 때문입니다.
사실 저는 해외 계좌도 가지고
투자도 하고 있습니다.
하지만 최근에 ISA 계좌를
개설하고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.
채권만 투자하려고 하다가
국내에 상장된 S&P500모음집인
ETF에 투자를 해야겠다 싶었습니다.
3. 국내상장 S&P500 수수료 비교
투자에서 수익률만큼 중요한 게 비용입니다.
세금을 아끼려고 ISA 계좌를 썼으면
그만큼 수수료도 아껴야겠죠?
국내 상장 ETF는 다음과 같습니다.
그중 많이 찾으시는 5개만 정리해보겠습니다.
상품 | TIGER | ACE | SOL | KBSTAR | KOSEF |
미래에셋 | 한국투자 | 신한 | KB | 키움 | |
실질 수수료 | 0.173 | 0.159 | 0.1952 | 0.120 | 0.335 |
최초 상장일 | 2020/08/07 | 2020/08/07 | 2022/06/21 | 2021/04/09 | 2022/12/20 |
시가총액 | 1등 | 2등 | 4등 | 3등 | 5등 |
배당 | 1,4,7,10월 | 1,4,7,10월 | (7~12월, 월배당) | 1,4,7,10,12월 | 4,7,10월 |
작년배당 수익률 | 1.2% | 1.3% | 1.1% | 1.5% | 0.62% |
이왕이면 실질 수수료가 적고
시가총액이 높은 게 좋겠죠?
미래에셋의 TIGER 미국S&P500
한국투자의 ACE 미국S&P500
KB의 KBSTAR 미국S&P500
정도가 좋겠습니다.
4. 투자 전 주의할 사항
S&P500 뒤에 붙는 말
(H) 가 있으면 환헷지 상품입니다.
이건 환율 변동을 최소화해준다는 건데요.
저는 그냥 (H) 표시 없는 것 구매했습니다.
또한 배당귀족, 금융, 헬스케어
등이 붙으면 아예 다른 상품이니
주의하세요!
모두 성투하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