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식 투자 등을 할 때
빠지지 않고 나오는 게 섹터 아닐까 싶습니다.
오늘은 섹터가 무엇인지 알아보고
경기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
투자와는 어떻게 연결시켜야할지 다루겠습니다.
1. 섹터란
애플, 테슬라, 존슨앤존슨 같은
개별 종목이 나무라면
섹터란 종목들이 이루는 큰 숲입니다.
섹터(11개)- 산업군(24개) - 산업(69개) - 하부산업(158개)
로 나뉩니다.
11개 섹터는 뭐가 있을까?
에너지, 소재, 산업재, 임의소비재,
필수소비재, 헬스케어, 금융, 정보기술,
커뮤니케이션, 서비스, 유틸리티, 리츠
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.
1) 정보기술 섹터(information technology)
: S&P500에서 25%를 차지합니다.
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
ex) 마이크로소프트, 애플, 어도비
2) 헬스케어 섹터(health care)
: S&p500에서 약 15%
: 건강관리 장비 공급 및 제조
건강관리 서비스
제약 및 생명공학 제품의 연구, 개발, 생산 및 마케팅
ex) 존슨앤존슨, 화이자 등
3) 금융섹터(financials)
: S&P500 의 약 11%
: 은행, 소비자 금융, 투자은행 및 중개
자산관리, 보험 및 투자
ex) 제이피모건 체이스, 버크셔헤서웨이
4)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섹터(communication services)
: S&P500의 약 10%
: 통신서비스 및 미디어, 엔터테인먼트
ex) 구글, 디즈니, AT&T
5) 임의소비재 섹터(consumer discretionary)
: S&P500의 약 9.9%
: 사람들이 원하지만 필수는 아닌.
(텔레비전, 자동차, 스포츠용품 / 경기에 민감)
ex) 나이키, 홈디포, 아마존
6) 산업재 섹터(industrials)
: S&P500의 8.3%
: 산업에서 활용되는 제품
ex) 3M(포스트잇, 마스크), 캐터필러(굴삭기), 록히드마틴(방산기업)
7) 필수소비재 섹터(consumer staples)
: S&P500의 7.8%
: 매일 사용하는 제품 / 경기에 민감x
ex) 프록터앤갬블PG(질레트, SK2)
코카콜라, 월마트
8) 유틸리티 섹터(Utilities)
: S&P500에서 3.6%
: 전기, 가스, 수도 등 인프라
ex) 넥스트에라에너지, 도미니언 에너지
9) 리츠(부동산) 섹터 (real estate)
: S&P500의 약 3.07%
: 부동산투자신탁, 부동산관리 및 개발
ex) 시몬프로퍼티(아울렛건물소유)
아메리칸타워, 크라운캐슬인터네셔널(통신용 인프라 임대)
10) 에너지 섹터(energy)
: S&P500의 2.6%
석유, 가스 등 에너지원 생산, 판매, 정제, 운송
ex) 엑손모빌, 셰브론
11) 소재 섹터(materials)
: S&P500의 약 2.4%
: 화학, 건축 자재, 금속 등 상품 제조
ex) 린데(산업용 가스), 에코랩(수자원)
그러면 섹터별 대장주를 정리해보겠습니다.
섹터 | 기업 | 산업 | 시가총액 |
정보기술 | 마이크로소프트(MSFT) | 소프트웨어 | 1730 |
애플(APPL) | 기술하드웨어, 스토리지, 주변기기 | 2140 | |
헬스케어 | 존슨앤드존슨(JNJ) | 제약 | 404 |
유나이티드헬스(UNH) | 헬스케어 업체 및 서비스 | 300 | |
금융 | 버크셔헤서웨이(BRK-A/B) | 보험 | 522 |
제이피모건체이스(JPM) | 은행 | 313 | |
커뮤니케이션서비스 | 알파벳구글(GOOGL) | 양방향 미디어 및 서비스 | 1120 |
페이스북(FB) | 양방향 미디어 및 서비스 | 836 | |
임의소비재 | 아마존(AMZN) | 전자상거래 | 1700 |
홈디포(HD) | 소매 | 308 | |
산업재 | 록히드마틴(LMT) | 우주항공 및 국방 | 110 |
유니온퍼시픽(UNP) | 도로 및 선로 | 132 | |
필수소비재 | 월마트(WMT) | 식품 및 필수품 소매 | 397 |
프록터앤갬블(PG) | 가정용품 | 345 | |
유틸리티 | 넥스트에라에너지(NEE) | 전기유틸리티 | 136 |
도미니언에너지(D) | 복합유틸리티 | 65 | |
리츠(부동산) | 아메리칸타워(AMT) | 다각화 리츠 | 110 |
크라운캐슬(CCI) | 다각화리츠 | 68 | |
에너지 | 엑손모빌(XOM) | 석유 가스 | 172 |
셰브론(CVX) | 석유 가스 | 159 | |
소재 | Linde PLC(LIN) | 화학 | 133 |
Ecolab Inc(ECL) | 화학 | 57 |
같은 섹터에 속한 기업들은
유사한 흐름을 보입니다.
분산투자 시 분야별로
나눠서 투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2. 경기와 섹터의 관계
1. 경기순환 사이클
경기는 상승했다가 하락합니다.
크게 4단계로 구분합니다.
1) 회복기 : 고용, 소비, 생산 등의
경제활동이 긍정적으로 개선됩니다.
투자심리도 회복되고
생산량도 늘고, 자금 수요도 증가합니다.
2) 활황기 : 투자, 생산, 소비 모두 증가.
재고와 판매 모두 증가하여 평형 상태
꾸준한 성장
사이클 중 가장 길며 3년~3년 반
3) 후퇴기 : 과잉생산, 투자로 재고 증가
통화정책 제한, 일자리 감소, 소득 감소, 물가하락
1년에서 1년 반
4) 침체기 : 경제활동 수축
생산량 급감, 실업급증, 기업 이윤 감소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PHe0bXAIuk0&ab_channel=PrinciplesbyRayDalio
2. 사이클 별로 강한 섹터가 있다.
1) 회복기 : 침체기 때 낮아진 금리로
임의소비재, 부동산, 금융, it 섹터 좋음!
but
헬스케어, 유틸리티, 에너지는 낮음.
2) 활황기 : it 커뮤니케이션 섹터 good
소비재 섹터 부진
3) 후퇴기 : 원자재 가격과 관련 있는
에너지 및 소재 섹터 성과 good
헬스케어, 필수소비재도 좋은 성과
but it와 임의소비재는 낮은 성과
4) 침체기 :
가장 방어적인 섹터가 좋음.
필수소비재, 유틸리티, 헬스케어 같은 방어주 good
산업재, 리츠, it 섹터는 부진
3. 지금은?
3. 섹터를 투자에 접목하기
1) 적용 방법
- 11개 섹터에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
(etf 활용 등)
- 시장 섹터 별
- 사이클 맞는 전략
2) 섹터 공부할 때 도움되는 사이트
fidelity.com
factset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리금융지주 배당주 분석 주가전망까지. (0) | 2024.06.04 |
---|---|
기업은행 배당주 투자 어떨까? 실제 매수가도 공개. (0) | 2024.05.28 |
미국투자 배당으로 투자하기 전 알아야 할 기본적인 사항들! (0) | 2024.05.21 |
ETF 제대로 알고 똑똑하게 '이용'하기 (0) | 2024.05.20 |
미국주식 왜할까? 해야하는 이유! 장점과 단점 (0) | 2024.05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