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가지수 연동상품으로는
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습니다.
-ELS
(Equity Linked Securities : 주가연계증권)
-ELF
(Equity Linked Fund : 주가연계펀드)
-ELD
(Equity Linked Deposit : 주가연계예금)
이름을 잘 보면 어떤 상품인지
짐작이 가능한데요.
주가와 연결된 상품입니다.
증권, 펀드, 예금의 차이입니다.
그 중에서 ELS라고 불리는 금융투자상품이
뉴스에 한창 나왔죠.
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(ELS)의
대량 손실이 발생했습니다.
이번 글에서
ELS가 무엇인지 알아보고
ELS 투자의 장점과 단점
홍콩ELS 사태를 보면서
꼭 알야할 점에 대해서 짚어보겠습니다.
1. ELS란?
증권사의 투자상품입니다.
(Equity- Linked- Securities)
(자본 - 연관된 - 증권)
주가 연계 파생 결합 증권입니다.
개별 주식이랑 연관하기도 하고
주가지수랑 연관하기도 합니다.
그리고 조건을 거는 것이죠.
주가 지수는 무엇인지 아시죠?
주가는 쉽게 말하면
시가총액이라 생각하면 돼요.
주가지수 = 현재 시총 / 기준시점 시총
예를 들어 이런 조건을 거는 거예요.
[3년] 안에 [코스피 지수]가
[50%] 이상 하락하지 않으면
투자금의 [연 10% 수익(세전)] 수익!
어때요?
주가지수가 50%나 폭락하는 경우는
정말 흔치 않은 일이죠.
도전하실건가요?
코스피 지수나
S&P 500
EuroSTXX50
등의 기초자산에 조건을 거는 게
바로 이 ELS입니다.
여기서 낙인이란
원금 손실이 발생하는 구간입니다.
이렇게 낙인조건 아래로 떨어진다면?
손실 구간입니다!
물론 손실이 난 다음 다시 수익이 나면
약속한 수익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하. 지. 만
아무리 올랐더라도 최초 기준 가격보다
낙인 조건에서 떨어졌다면
손실이 나게 되는 위험성이 있는 것입니다.
2. ELS 장점
1) 다양한 주가 자산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.
주식, 해외주식, 주가지수, 원자재, 환율 등
2) 사전에 정해진 조건에 따라 정해진 수익률을 지급합니다.
자산의 가격이 범위 내에서만 움직이면
미리 약정된 수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.
그래서 가격이 일정 부분 하락해도
수익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
3. ELS 단점
1) 환금성 제약이 있습니다.
- 중도상환은 가능하지만
원금 손실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.
2)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닙니다.
3) 적립식 투자가 안됩니다.
4) 소액 투자가 불가합니다.
- 청약 단위가 100만원임.
4. 홍콩 ELS 사태로 볼 수 있는
ELS 투자 타이밍
홍콩ELS 사태는
2021년 초 시중은행이
홍콩H지수가 35% 급락하지 않을 경우
원금과 이자를 지급하도록 설계했습니다.
보통 만기가 3년입니다.
홍콩 3년 지수를 보겠습니다.
3년간 지수가 이렇게나 빠졌습니다.
이 상품에 전체 투자금이 13조나 들어있고요.
3년동안 예치했는데
원금도 못 건지는 상황이 되었습니다.
이를 보고 생각할 수 있는
ELS 투자의 적기에 대한 생각을 해보겠습니다.
1) 주식 가격이 하락했을 때
( 더 오를 것 같을 때)
2) 낙인 조건, 조기상환조건은
낮을 수록 유리합니다.
특히,
홍콩은 중국 정부의 영향을 받습니다.
중국의 규제에 따라서 기업의
흥망이 결정되는 중국 영향권이기 때문에
주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.
단일 상품이 아닌
이런 조건이 걸린 파생상품은
적은 정보만 가지고 투자하시면
위험할 수 있으니
충분한 공부는 필수입니다.
워런해핏이었습니다.
돈에 대한 소식들과 인사이트를 다룹니다.
구독하시고 정보 받아보세요.
그래서 내가 ELS 투자 안하려고 하는 이유
'돈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&P500 국내상장 ETF 투자하기. 미국 건데 왜 국내 투자를? 수수료 비교까지! (0) | 2024.04.02 |
---|---|
ELS에 투자하면 안되는 이유. 돈 넣기 전에 꼭. 제발 보세요. (0) | 2024.03.09 |
중개형 ISA 6개 증권사 수수료 비교 2024 / 한국투자, NH투자증권, 신한, 국민, 삼성, KB, 키움 등 (0) | 2024.03.07 |
ISA : 왜 대체 만능통장이라고 하는거임? 세금 혜택이 얼마나 있길래? (1) | 2024.03.06 |
강철멘탈 책 서평 저자 : 부동산 전망. 어떻게 될 것인가. 이현철(아파트 사이클 연구소) (0) | 2024.03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