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동산도 돈의 흐름으로
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에
부동산 투자자라면
금융사이클 정도는 이해해야 합니다.
금융 사이클은 5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요.
이 금융사이클을 보면서
부동산 가격을 예측하는 방법도 나눌테니
좀 어려우시겠지만
천천히 따라오시기 바랍니다.
<목차>
1. 확장 2. 고점 3. 축소 및 침체
4. 불황 5. 회복
6. 금융사이클로 부동산 가격 예측하기
단계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.
1. 확장(expansion)
실업률이 낮아지고 고용은 올라갑니다.
물가가 빠른 속도로 증가합니다.
금리는 낮고 인플레이션 발생하기도 합니다.
고용(실업률) | 공급 | 수요 | 소득 | 지출 | 가격 | 금리 | 경제성장 | |
Expansion 확장 | 완전고용 | ↑ | ↑ | ↑ | ↑ | ↑ | ↓ | + |
2. 고점(peak)
생산량은 최대이고 완전고용상태입니다.
그래서 소비재 가격은 상승합니다.
하지만 소득은 상승하지 않습니다.
그래서 점차 지출을 줄이게 됩니다.
경제성장은 정점에서 안정됩니다.
고용(실업률) | 공급 | 수요 | 소득 | 지출 | 가격 | 금리 | 경제성장 | |
Peak 고점 | ↑ (완전고용) | ↑ | -정체 | -정체 | -정체 | ↑ | ↓ -> ↑ | 정점에서 안정 |
3. 축소 및 침체(Contraction&Recession)
수요가 정체되다가
떨어지기 시작합니다.
투자와 고용수준도 떨어집니다.
수요와 공급이 불일치하게 됩니다.
생산자와 소비자가 이 불균형을
알게되면 가격도 하락하게 되고
지출도 감소되며
경제활동이 위축됩니다.
고용(실업률) | 공급 | 수요 | 소득 | 지출 | 가격 | 금리 | 경제성장 | |
contracion&recession 축소 및 침체 | ↓ | ↑ | ↓ | ↓ | ↓ | ↓ | ↑ | 경제활동 위축 |
4. 불황(Depression)
심각한 형태의 경기침체
마이너스 성장입니다.
수요가 감소하고
회사가 문을 닫기도 합니다.
고용률에 영향을 미칩니다.
이자율이 가장 낮습니다.
투자가 들어오기도 합니다.
고용(실업률) | 공급 | 수요 | 소득 | 지출 | 가격 | 금리 | 경제성장 | |
depression 불황 | ↓ | ↓ | ↓ | ↓ | ↓ | ↓ ↓ | ↓ ↓ | ↓마이너스성장 |
5. 회복(Recovery)
투자자는 더 낮은 이자와 비용을 이용하여
투자를 시작합니다.
생산자들은 임금을 낮추고 고용을 시작합니다.
그래서 노동시장에서
가장 먼저 회복이 느껴집니다.
고용(실업률) | 공급 | 수요 | 소득 | 지출 | 가격 | 금리 | 경제성장 | |
Recovery 회복 | ↑ |
6. 금융사이클로 부동산 가격 예측하기
금융 사이클이 왜 중요할까요?
고용지표에 따른 돈의 흐름을 파악하여
부동산 가격의 변화를 읽고
투자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실업률이 아주 낮은 경우
부동산 시장에서 수요가 증가하니
(유효 수요 증가)
부동산 가격의 상승이 이어지겠죠.
금융사이클을 확인했다면
그 단계에서 부동산 시장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.
확장과 고점 단계에서
임대료와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것이고
공급 역시 증가할 것입니다.
축소 및 침체 단계에서도
임대료도 서서히 감소하지만
부동산 붐은 여전할 수도 있습니다.
이때 은행은 부동산담보대출에
제동을 걸 수 있습니다.
그러니 돈의 흐름을 파악해야 합니다.
저번에 봤던 부동산 사이클과
부동산 시장을 연결시켜볼까요.
확장 단계에서 공급 과잉 단계
즉 꼭지에서는
자산 가격이 상승하면서
수익성은 감소하게 됩니다.
(자본환원율 감소.)
현명한 투자자는
자본환원율이 낮을 때 팔려고 할 겁니다.
또
자본환원율이 높아지면
부동산 가격이 낮아졌으니
다시 사려고 하겠죠?
오늘은 금융사이클을 알아보면서
부동산 가격과 연관 지어봤습니다.
돈의 흐름이 참 중요한 자산 중 하나인 부동산.
여러 요소와 묶어서
총체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.
선한 부를 지향합니다.
저와 함께 투자 여정을 떠나고 싶으신 분들은
구독 버튼 눌러주세요.
부자되세요. 감사합니다.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환율과 미국부동산 투자, 이거 모르면 비싸게 사고 싸게 팔아요. (0) | 2024.01.29 |
---|---|
미국부동산사이클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기본 요소. 이 정도도 모르면.. (0) | 2024.01.28 |
부동산 사이클, 매수매도 타이밍. 실패하지 않기 위해선? (0) | 2024.01.22 |
부채상환비율(DSCR), 대출을 얼마나 받아서 레버리지할 수 있을까? (0) | 2024.01.21 |
임대부동산 투자수익률 대출을 받는 게 왜 더 이득일까? (0) | 2024.01.19 |